본문 바로가기
생활 속 꿀정보/생활 정보

[추석 차례상 차림] 5열 기본, 제사상 격언과 뜻, 유의사항

by 완전꿀정보 2022. 9. 4.
반응형

제사의 종류는 크게 기제, 차례, 묘제의 세 가지로 나뉘는데, ① 기제 - 고인이 돌아가신 기일에 지내는 제사, ② 차례 - 설날과 추석에 지내는 제사, ③ 묘제 - 한식과 추석 때에 산소에 찾아가 음식을 차려놓고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. 몇 가지 원칙과 유의사항이 있지만 제사상을 차리는 것이 쉽지 않은 만큼, 지역과 가정 상황에 맞게 정성과 예를 갖춘다면 다소 간소하거나 빠진 것이 있어도 그 또한 훌륭한 차림이 될 것입니다. 

5열 기본

  • 1열(식사류) : 시접(수저를 올려놓는 제기), 밥과 국(신위 수만큼), 송편, 술잔을 놓습니다.
  • 2열(주요리) : 육전과 육적(고기를 구운 것), 어전과 어적(생선을 구운 것) 등을 놓습니다.
  • 3열(부요리) : 생선탕, 고기탕, 두부탕 등의 다양한 탕류를 놓습니다. 이때 탕의 개수는 홀수로 놓습니다.
  • 4열(밑반찬류) : 왼쪽 끝은 포를, 오른쪽 끝은 식혜를 놓고 그 사이에 나물을 놓습니다. 좌포우혜의 순서로 놓습니다.
  • 5열(후식류) : 왼쪽부터 대추, 밤, 감 순으로 놓고, 이어서 과일을 놓습니다. 조율이시, 홍동백서의 순서로 놓습니다.

추석 차례상

제사상 격언과 뜻

  • 남좌여우 : 남자 조상의 신위, 밥, 국, 술잔은 왼쪽, 여자 조상은 오른쪽에 놓습니다. 남자 조상은 서쪽(왼쪽), 여자 조상은 동쪽(왼쪽)에 위치합니다.
  • 반서갱동 : 보통 상차림과 반대입니다. 수저는 중앙에 놓고 밥은 서쪽(왼쪽) 국은 동쪽(오른쪽)에 놓습니다.
  • 어동육서 : 생선은 동쪽(오른쪽), 고기는 서쪽(왼쪽)에 놓습니다.
  • 두동미서 : 생선 머리는 동쪽(오른쪽), 꼬리는 서쪽(왼쪽)으로 놓습니다.
  • 생동숙서 : 김치는 동쪽(오른쪽), 나물은 서쪽(왼쪽)에 놓습니다.
  • 좌포우혜 : 포는 왼쪽, 젓갈은 오른쪽에 놓습니다.
  • 건좌습우 : 마른 것은 왼쪽,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.
  • 면서병동 : 국수는 서쪽(왼쪽), 떡은 동쪽(오른쪽)에 놓습니다.
  • 조율시이 : 왼쪽부터 대추, 밤, 감, 배 순으로 놓습니다.
  • 홍동백서 : 붉은 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.

지역별 음식 차이

  • 서울·경기 : 다산과 풍요의 상징인 통북어를 올립니다. 내륙이다 보니 생선을 적게 올리되 생선중에 최고로 불리는 굴비를 올렸습니다.
  • 충청도 : 경북 인접지역은 대구포·상어포·건오징어를, 호남 인접지역은 말린 홍어·가자미·낙지·서대 묵 등을 올렸으며, 배추전, 무적 등의 전과 부침류를 많이 올리는 전통이 있습니다.
  • 강원도 : 해안지역은 명태포를, 산간지역은 나물·감자·고구마 등을 올립니다. 평창지역은 메밀꽃으로 유명해 메밀전을 올렸고, 송이버섯은 두부처럼 소적을 만들어서 올렸습니다.
  • 경상도 : 경북지역과 대구는 참상어 살(돔배기)을 구워서 올리고, 경남지역은 수산물을, 안동은 안동식혜를 올립니다.
  • 전라도 : 음식문화가 발달해 다양한 음식을 올리며, 홍어가 많이 올라갑니다.

유의사항

  • 과일은 위, 아래를 깎아서 홀수로 올립니다.
  • 술은 맑은 술로 준비합니다.
  • 복숭아와 삼치, 갈치, 꽁치 등 '치'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.
  • 마늘, 후추, 고춧가루, 파를 쓰지 않고, 간장과 소금만으로 조리합니다.
  • 붉은팥 대신 흰 고물을 사용합니다.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