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이미지 조사 80.5% 긍정, 방탄소년단 1위 문재인 대통령 2위
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한국인으로'방탄소년단(15.1%)'이 1위에 선정되었습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7.gif)
문화체육부 해외문화홍보원(이하 해문홍)은 '2015년 빅데이터 활용 국가이미지 해외조사', '2017년 빅데이터 활용 국가이미지 조사', '2018년 국가이미지 조사', '2019년 국가이미지 조사', '2020년 국가이미지 조사' 등 수년 전부터 세계 주요국가를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세계인의 인식을 파악하고, 향후 변화 추이를 관찰하여 우리나라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해외홍보 전략계획을 만들기 위한 자료로 삼기 위해 조사를 해오고 있습니다.
- 이번 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한 델타 변이, 오미크론 변이 등 지속적인 변이 확산으로 코로나 종식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,
-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, 한류로 일컬어지는 문화콘텐츠가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.
해외 23개 국가 11,500명(국가별 500명), 한국 1,000명 등 총 12,500명
'한국'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만 16세 이상 조사 대상국 국적자 11,500명과 한국 국적 및 한국 거주자 1,000명 등 총 12,500명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.
한국인에 대한 인식
- 전반적 호감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4.02점
- 한국인에 대해 '친절하다' > '신뢰할 수 있다' > '성실하다' > '개방적이다' 순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남
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한국인
- 방탄소년단 15.1%
- 문재인 대통령 6.2%
- 블랙핑크 6.1%
- 이민호 4.1%
- 손흥민 3.6%
- 싸이 2.2%
- 봉준호 1.6%
- 송혜교 1.3%
- 송중기 1.3%
- 반기문 1.3%
1. 한국에 대한 인지
- 한국 관련 접촉 분야 - 음악, 영화, 뷰티 등 '현대문화'가 가장 많음
- 여성 - '현대문화', 남성 - '경제'에 대한 정보 접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
- 연령이 낮을수록 '현대문화', 30대 이상 '경제'에 대한 접촉이 많았음
- 한국 관련 정보를 주로 접하는 경로는 '온라인(인터넷, SNS 등)', '방송(TV, 라디오 등)'으로 나타남
분야별 인지도
- '대중음악' > '한국음식' > '영화' > '드라마' > '한국산 제품 및 브랜드' 순
- 아시아·중남미 - 대중음악, 영화 등 문화 콘텐츠
- 유럽 - 한국전쟁, 정치상황, 남북관계 등에 대한 인지가 타 국가 대비 높았음
한국에 대한 관심도
한국에 대한 관심 내용 8문항에 대한 응답률 평균
- 최근에 한국 관련 정보/뉴스를 검색해 봤다 60.3%
- 최근에 한류 콘텐츠를 접해봤다 75.0%
- 최근에 한국 제품 구입/구입 의향이 있다 59.2%
- 최근 주변 사람들과 한국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59.4%
- 향후 한국을 방문해 보고 싶다 81.1%
- 한국어(한글)를 배워보고 싶다 54.5%
- 한국인과 친구를 하고 싶다 76.2%
- 한국의 전통문화를 체험해보고 싶다 83.4%
- 국가별 한국에 대한 관심도 순위는 베트남 > 필리핀 > 인도네시아 > 인도 > 태국 > UAE > 브라질 > 중국 순이며, 일본이 가장 낮은 관심도를 보임
관심 있는 한국문화 콘텐츠
- 아시아권 국가들은 대중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, 베트남과 터키는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옴
- 유럽과 미국, 남아공은 음식, 중남미 국가들은 대중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옴
2. 한국에 대한 이미지 평가
한국의 국가이미지
-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국가이미지는 긍정 80.5%로 전년도 대비 2.4% P 상승하였는데, 한국인(58.5%) 보다 외국인(80.5%)의 긍정평가가 더 높았다.
- 2021년 신규 편입된 베트남, 터키, 필리핀의 긍정평가가 매우 높게 나타남
- 일본의 경우 조사이래 처음으로 긍정(35.0%)이 부정(26.6%) 평가보다 높게 나타나는 역전현상을 보임
분야별 호감도
- '현대문화', '문화유산', '스포츠'에 대한 호감도가 높게 나타남
- '경제'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전년대비 소폭 상승
- 여성 '문화영역', 남성 '경제, 안보, 정치·외교, 스포츠' 분야에서 더 높은 호감도 나타냄
이미지 제고를 위한 시급한 과제
- 한국인은 '한국에 대한 신뢰도 향상', 외국인은 '양질의 문화 콘텐츠 생산'을 1순위로 선정
3. 한국에 대한 친밀도
- 한국에 대한 관심도와 호감도는 정(+)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, 관심도가 높으면 호감도 역시 높은 경향을 보임
이상 출처: 해외문화홍보원 https://www.kocis.go.kr/ |
'생활 속 꿀정보 >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배스킨라빈스 할인] 배라 할인/ 31일 데이 사전예약 할인/ 최대9200원 할인 (12) | 2022.01.27 |
---|---|
[아이 용돈 얼마 줄까요] 초중고 월평균 금액 (6) | 2022.01.27 |
경기지역화폐, 할인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가입방법 (6) | 2022.01.25 |
[제주항공권 싸게 사는 법] 제주항공권 저렴하게 구매하기 꿀팁/ 제주항공권 예매/ 제주항공권 가격 비교 (16) | 2022.01.22 |
[2021 희망직업 1위는?] 초 중 고교 학생 대상 조사결과 (24) | 2022.01.20 |
댓글